본문 바로가기

건강

[100세건강]인수공통감염병 종류 원인 감염 경로 증상 진단 예방

반응형

1. 인수공통감염병의 정의와 특성

1-1. 정의

  • 인수공통감염병(zoonosis): 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전파될 수 있는 감염병을 의미합니다.
    • 이 감염병은 병원체(세균, 바이러스, 기생충, 곰팡이 등)가 동물에서 인간으로, 또는 인간에서 동물로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.
    • 세계보건기구(WHO)에 따르면, 현재 알려진 모든 감염병의 약 60%가 인수공통감염병이며, 신종 감염병의 75% 이상이 동물에서 기원합니다.

1-2. 감염 경로

  1. 접촉:
    • 병원체를 보유한 동물과의 물리적 접촉이나 타액, 혈액, 분비물, 배설물 등을 통해 감염됩니다.
    • 예: 공수병(광견병)은 감염된 동물의 타액에 노출되었을 때 전염됩니다.
  2. 간접 접촉:
    • 병원체가 오염된 환경(물, 흙, 공기 등) 또는 매개체(모기, 진드기 등)를 통해 전파됩니다.
    • 예: 일본뇌염은 감염된 모기를 통해 전염됩니다.
  3. 식품 및 물을 통한 감염:
    • 오염된 식품(덜 익힌 육류, 멸균되지 않은 우유 등)이나 물을 섭취하여 발생합니다.
    • 예: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(E. coli O157)은 오염된 식품 섭취로 전염됩니다.
  4. 공기 감염:
    • 병원체가 공기 중으로 퍼지며 감염됩니다.
    • 예: 탄저병은 공기 중 포자 흡입으로 전염될 수 있습니다.

1-3. 주요 특징

  1. 종간 장벽의 붕괴:
    • 종간 장벽은 동물 병원체가 인간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유전적 장벽입니다.
    • 그러나 환경 변화와 인간-동물 접촉 증가로 인해 이 장벽이 무너지고 있습니다.
  2. 매개체 역할:
    • 병원체는 야생동물(박쥐, 쥐, 새 등), 가축(소, 돼지, 닭 등), 반려동물(개, 고양이 등) 등을 통해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.
  3. 빠른 확산 가능성:
    • 감염병이 인간 사이에서 전파되기 시작하면, 특히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확산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.
    • 예: 코로나19는 박쥐에서 시작해 인간으로 전염된 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.

 

2. 국내외 주요 인수공통감염병

2-1.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감염병

  1.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:
    • 감염 경로: 오염된 채소, 덜 익힌 육류, 멸균되지 않은 우유.
    • 증상: 설사, 복통, 발열, 심한 경우 용혈성요독증후군(HUS)으로 발전.
    • 발생 건수: 418건으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임.
  2. 중동호흡기증후군(MERS):
    • 감염 경로: 낙타와의 접촉 또는 낙타유 섭취.
    • 증상: 고열, 기침, 호흡곤란.
    • 국내 발생 사례: 2015년 환자 186명 발생, 국내 감염병 관리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침.
  3. 브루셀라증: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가축(소, 돼지, 양)과의 접촉.
    • 증상: 발열, 관절통, 피로감.
    • 발생 건수: 129건.
  4. 일본뇌염: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의 물림.
    • 증상: 고열, 두통, 경련, 심한 경우 뇌손상.
    • 발생 건수: 90건.
  5. 큐열(Q fever):
    • 감염 경로: 진드기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 흡입.
    • 증상: 발열, 근육통, 폐렴.
    • 발생 건수: 79건.

2-2. 해외에서 발생하는 주요 감염병

  1. 사스(SARS)
    • 감염 경로: 박쥐 → 사향고양이 → 인간.
    • 증상: 고열, 기침, 호흡곤란.
    • 발생 사례: 2002년 중국 광둥성에서 시작해 8,000여 명 감염, 774명 사망.
  2. 에볼라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동물(박쥐, 원숭이)과의 접촉.
    • 증상: 발열, 출혈, 장기 부전.
    • 발생 사례: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대규모 유행, 약 11,000명 사망.
  3. 탄저병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동물의 포자 흡입 또는 접촉.
    • 증상: 피부 궤양, 호흡곤란, 전신 부종.
    • 발생 사례: 생물테러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함.
  4. 공수병(광견병)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동물의 타액(특히 개의 물림).
    • 증상: 두통, 발작, 수분공포증.
    • 치사율: 발병 시 거의 100%.
  5. 크로이츠펠트-야콥병(vCJD)
  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소의 조직 섭취(BSE, 소해면상뇌증).
    • 증상: 치매, 운동 장애, 사망.

 

3. 인수공통감염병의 증가 원인

3-1. 도시화와 환경 변화

  1. 산림 파괴와 서식지 감소
    • 야생동물과 인간 접촉 증가:
      도시 개발과 농업 확대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감소하고, 인간과의 접촉이 빈번해졌습니다.
      • 예: 박쥐는 서식지가 파괴되면 인간이 사용하는 시설(창고, 집 등)로 이동하여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높입니다.
    • 병원체 전이 가능성 증가:
     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이 가축이나 인간과 접촉하면서 병원체가 다른 종으로 전파됩니다.
  2. 기후 변화
    • 매개체 활동 증가:
      지구 온난화로 인해 모기,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의 활동 시기가 길어지고, 활동 지역이 확대되었습니다.
      • 예: 일본뇌염을 유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의 서식지가 북상하며 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증가.
    • 병원체의 생존 환경 확대:
      기온 상승은 병원체(세균, 바이러스)의 생존 및 증식을 촉진합니다.
  3. 가축의 집단 사육
    • 밀집된 환경에서의 감염 확산:
      대규모 가축 사육장은 동물 간 감염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요인이 됩니다.
      • 예: 조류독감(AI)은 가금류 농장에서 발생 후 인간에게 전염되는 사례가 있습니다.
    • 인간과 동물 간 접촉 증가:
      축산업 종사자나 농장 방문자는 가축과의 접촉으로 인해 감염병에 노출될 위험이 큽니다.

3-2. 사회적 요인

  1. 야생동물 거래와 소비
    • 불법 야생동물 거래:
      감염병을 보유한 야생동물이 시장에서 거래되거나 가축으로 도입될 때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.
      • 예: SARS는 중국의 야생동물 시장에서 박쥐와 사향고양이를 통해 전파되었습니다.
    • 야생동물 식용 문화:
      일부 지역에서는 야생동물의 고기를 전통적이거나 약리적 이유로 소비하며 감염병 위험을 높입니다.
  2. 글로벌화와 여행
    • 국제 여행 증가:
      해외여행과 국제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감염병이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예: 코로나19는 여행객과 국제 항공편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.
    • 농산물 및 동물 수입:
      오염된 농산물이나 동물 제품을 수입하면 감염병이 유입될 위험이 있습니다.
  3. 동물 체험 및 반려동물 증가
    • 동물 카페 및 농장 체험:
      동물과의 직접 접촉이 증가하면서 병원체 전파 가능성이 커집니다.
      • 예: 브루셀라증은 감염된 가축과의 접촉으로 발생합니다.
    • 반려동물 증가:
      반려동물(특히 수입된 동물)이 병원체를 보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    • 예: 공수병은 반려동물(특히 개)의 타액을 통해 전염됩니다.

 

4. 예방 및 대처 방안

4-1. 개인 위생 관리

  1. 손 씻기
    • 동물 접촉 후 손 씻기:
      동물과의 접촉 후 비누와 물로 손을 철저히 씻는 것은 감염병 예방의 기본입니다.
      • 특히 가축 농장, 동물원 방문 후에는 손 씻기가 필수적입니다.
  2. 음식과 물의 안전 관리
    • 음식물 익혀 먹기:
      육류, 가금류는 충분히 익혀 섭취하고 멸균되지 않은 우유는 섭취를 피합니다.
      • 예: 살균된 우유는 브루셀라증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깨끗한 물 사용:
      깨끗하지 않은 물을 섭취하면 병원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3. 모기, 진드기 등 매개체 방역
    • 모기 기피제와 방충망 사용:
     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로부터 물리지 않도록 보호 장비를 사용합니다.
    • 야외 활동 후 진드기 확인:
      진드기에 물린 후 방치하면 큐열(Q fever) 같은 감염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.

4-2. 사회적 및 정책적 대처

  1. 감염병 감시 체계 강화
    • 병원체 추적 및 모니터링:
     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을 추적하고, 동물과 인간 간 전염 경로를 확인합니다.
      • 국내외 발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화.
  2. 예방접종 확대
    • 고위험군 대상 예방접종:
      일본뇌염, 탄저병 등 예방 가능한 감염병에 대해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.
      • 농장 근로자, 수의사, 동물 관리자는 우선적으로 접종받아야 합니다.
  3. 야생동물 매매 규제
    • 불법 거래 근절:
      불법 야생동물 거래를 단속하고, 합법적으로 거래되는 동물의 검역을 강화합니다.
    • 거래 동물 검역 강화:
      모든 동물은 거래 전에 병원체 검사를 받고, 필요한 경우 격리됩니다.
  4. 환경 관리
    • 서식지 보전:
      산림 파괴를 최소화하고, 야생동물 서식지를 보전하여 인간과 야생동물의 접촉을 줄입니다.
    • 농장 위생 관리:
      대규모 사육장에서의 위생 관리를 강화하고, 감염 발생 시 신속히 격리 조치합니다.

결론

인수공통감염병의 증가 원인은 환경 변화, 사회적 요인, 매개체 활동 증가 등 복합적입니다.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고, 정부와 사회의 체계적인 관리와 협력이 필수적입니다. 예방접종과 방역 강화는 감염병 확산을 줄이는 핵심적인 대책으로 작용하며, 환경 보전과 동물 매매 규제는 장기적으로 감염병 발생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.

반응형